웹사이트와 환경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컴퓨터는 자동차처럼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데 말입니다.
글로벌 비영리 단체인 ‘기후 케어(Climate Care)’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연간 8억 3000만 톤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이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2%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도대체 어쩌다가 이렇게 많은 탄소가 배출되고 있을까요?

위 사진처럼 우리가 웹사이트를 보기까지의 과정에는 수많은 컴퓨터들이 작동해야 해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부터 통신사들의 라우터,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나 스마트폰까지 모두 전기를 소비하고 있지요. 바로 이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가 연간 8억 3000만 톤이나 되는 것이지요.
Whole Grain Digital에 따르면 1년간 전 세계 인터넷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은 우리나라 연간 전력 사용량의 8.25배에 달한다고 해요. 디지털화와 인터넷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이 수치는 점점 증가할 거예요.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1.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의 캐시 기능을 사용하면 서버의 부하와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CDN의 장점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2023.07.31 - [클래스보드 기술블로그] - Cloudflare을 사용하는 이유
2. Minify & Gzip
가장 쉽고 효과가 좋은 방법입니다. Minify는 줄 바꿈 등의 불필요한 코드를 줄인 상태로 전송하는 것이고 Gzip은 zip파일을 만들듯 웹페이지 자체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하면 약 87%의 네트워크 사용량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Service Worker
Service Worker은 캐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첫 방문 시에 웹사이트의 사본을 사용자의 기기에 저장하고 다음 방문 시에 추가적인 네트워크 사용 없이 사본을 로드하는 것입니다. 주로 정적인 데이터를 다루는 블로그 등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위 3가지 방법을 모두 지킨다면 당신의 웹사이트는 이전보다 훨씬 친환경적으로 작동할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서버 코드의 최적화, 불필요한 라이브러리 제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친환경성을 고려하는 소비자의 증가에 따라 웹사이트가 친환경적인 것은 미래에 상당한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친환경성은 지속 가능한 서비스 운영을 위해서는 꼭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마지막으로 웹사이트가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해드릴게요.
바로 https://www.websitecarbon.com/ 이에요. 이 사이트에 접속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가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지 알 수 있어요.
Website Carbon Calculator v3 | What's your site's carbon footprint?
The original website carbon calculator tool, brought to you by Wholegrain Digital,London's original sustainable WordPress agency.
www.websitecarbon.com
아래는 클래스보드 (https://classboard.kr/)의 측정 결과에요


'클래스보드 기술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다 만들어 놓은 서버 코드를 다시 작성하나요? (0) | 2024.02.12 |
---|---|
Cloudflare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3.07.31 |
웹사이트와 환경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컴퓨터는 자동차처럼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데 말입니다.
글로벌 비영리 단체인 ‘기후 케어(Climate Care)’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연간 8억 3000만 톤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이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2%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도대체 어쩌다가 이렇게 많은 탄소가 배출되고 있을까요?

위 사진처럼 우리가 웹사이트를 보기까지의 과정에는 수많은 컴퓨터들이 작동해야 해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부터 통신사들의 라우터,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나 스마트폰까지 모두 전기를 소비하고 있지요. 바로 이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가 연간 8억 3000만 톤이나 되는 것이지요.
Whole Grain Digital에 따르면 1년간 전 세계 인터넷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은 우리나라 연간 전력 사용량의 8.25배에 달한다고 해요. 디지털화와 인터넷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이 수치는 점점 증가할 거예요.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1.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의 캐시 기능을 사용하면 서버의 부하와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CDN의 장점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2023.07.31 - [클래스보드 기술블로그] - Cloudflare을 사용하는 이유
2. Minify & Gzip
가장 쉽고 효과가 좋은 방법입니다. Minify는 줄 바꿈 등의 불필요한 코드를 줄인 상태로 전송하는 것이고 Gzip은 zip파일을 만들듯 웹페이지 자체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하면 약 87%의 네트워크 사용량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Service Worker
Service Worker은 캐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첫 방문 시에 웹사이트의 사본을 사용자의 기기에 저장하고 다음 방문 시에 추가적인 네트워크 사용 없이 사본을 로드하는 것입니다. 주로 정적인 데이터를 다루는 블로그 등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위 3가지 방법을 모두 지킨다면 당신의 웹사이트는 이전보다 훨씬 친환경적으로 작동할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서버 코드의 최적화, 불필요한 라이브러리 제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친환경성을 고려하는 소비자의 증가에 따라 웹사이트가 친환경적인 것은 미래에 상당한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친환경성은 지속 가능한 서비스 운영을 위해서는 꼭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마지막으로 웹사이트가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해드릴게요.
바로 https://www.websitecarbon.com/ 이에요. 이 사이트에 접속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가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지 알 수 있어요.
Website Carbon Calculator v3 | What's your site's carbon footprint?
The original website carbon calculator tool, brought to you by Wholegrain Digital,London's original sustainable WordPress agency.
www.websitecarbon.com
아래는 클래스보드 (https://classboard.kr/)의 측정 결과에요


'클래스보드 기술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다 만들어 놓은 서버 코드를 다시 작성하나요? (0) | 2024.02.12 |
---|---|
Cloudflare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3.07.31 |